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영아의 운동 기능 발달에 대한 구체적인 서술

by 리치리치쑤쑤 2022. 8. 10.

영아기의 아기들을 곁에서 관찰해보면 매우 빠른 속도로 신체가 발달해감을 알 수 있습니다. 또한 영아기의 신체 발달 중에서도 운동 기능들의 발달은 눈에 띄게 커다란 변화들이며 신체 부위 및 특정 운동에 사용되는 근육의 크기에 따라 대근육 운동과 소근육 운동으로 나누어집니다. 이번 글에서는 영아가 이루어가는 운동 기능들의 발달에 대해 구체적으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대근육 운동과 소근육 운동

영아기에 발달하는 대근육 운동과 소근육 운동에 대해 알아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먼저 대근육 운동은 몸통, 팔, 다리와 같은 대근육을 사용하는 운동으로서 기어가기, 한 발로 서있기, 두 발로 서있기, 뜀뛰기, 걷기 등의 운동이 포함됩니다. 출생 시 고개도 스스로 가누기 힘들어 어른에게 전적으로 의존을 하던 아기가 대근육 운동기능이 점차 발달해가며 스스로 뒤집기, 기어가기, 앉기, 서기, 걷기, 달리기 등의 운동을 할 수 있는 기동성이 있는 한 인간으로 성장해갑니다. 다음으로 소근육 운동은 손으로 물건 잡기, 손가락을 사용하여 물건 집기, 손과 손가락을 움직여 그림 그리기 등과 같이 몸의 소근육 부분을 사용하는 운동을 말합니다. 소근육 운동 기능은 근원 발달의 원칙에 의해 팔, 손, 손가락의 순서로 발달해 나갑니다. 신생아에게도 잡기 반사 능력이 있기는 하지만 말 그대로 반사적인 능력일 뿐 자기 자신의 의지로 통제하는 능력은 없습니다. 또한 모빌과 같은 매달려 있는 물체들을 보면서 손과 발을 움직일 수는 있지만 물체를 잡지는 못합니다. 왜냐하면 신생아에게는 눈과 손을 협응 하는 능력이 아직 형성되지 않았기 때문이며 5개월에서 6개월 무렵부터 점차 가능해집니다. 영아기에 습득하고 발달하는 다양한 대근육 운동 및 소근육 운동 등은 앞으로 아이가 이루어가야 할 수많은 발달의 기초가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영아를 가까운 위치에서 돌보는 부모 및 교사는 영아가 각 시기별로 이루어야 할 운동 기능 발달에 대해 미리 숙지하고 있는 것이 필요합니다. 또한 영아가 시기별로 이루어야 할 운동 기능들에 대해 숙지하고 있는 것뿐만 아니라 실제로 영아가 시기와 순서에 알맞게 다양한 운동 기능들을 적절히 발달시켜 나갈 수 있도록 부모와 교사가 영아를 세심히 관찰하고 필요한 도움을 제공해야 합니다. 영아의 건강한 운동기능 발달에 필요한 부모 및 교사의 도움으로는 예를 들어 영아가 목 근육, 가슴 근육, 팔 근육, 등 근육의 힘을 길러야 할 시기에 어른이 지켜보는 상황에서 영아가 조금씩 엎드려서 놀이를 해볼 수 있도록 도움을 제공하는 것, 영아가 걷기 운동을 시작할 때 어른이 영아의 손을 잡고 조금씩 안전하게 이끌어주는 것 등이 있습니다. 

영아기 운동기능의 발달에 대한 세 가지 관점

영아의 운동기능의 발달 시기와 순서를 설명하는 세 가지 관점에 대해 알아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첫 번째는 성숙론적 관점입니다. 성숙론적 관점에 의하면 영아의 근육과 신경계의 성숙이 이루어지게 되면 유전적으로 정해진 순서대로 운동 기능이 발달해간다고 합니다. 이러한 견해에 대한 근거로는 세계의 수많은 영아들이 각자 경험하게 되는 환경과 경험이 매우 다름에도 불구하고 비슷한 순서에 따라 운동 기능이 발달해나간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두 번째 학습론자들은 영아기 운동 기능의 발달에 있어 유전적 성숙이 중요한 요인이라는 사실을 부정하지는 않지만 유전적인 성숙과 더불어 운동 기술들을 충분히 연습할 기회 또한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이러한 학습론자들의 견해에 대한 근거로는 출생 후 2년간을 대부분 침대에서 누워만 지낸 이란의 고아원 아이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아이들이 2세가 되어도 스스로 걷지를 못하고 3에서 4세가 되어서야 단 15%의 아이들만이 혼자서 걸을 수 있었던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세 번째는 목표지향적 체계 이론입니다. 목표지향적 체계 이론에서는 출생 후 2년 동안의 운동 기능의 발달은 단순히 성숙과 학습에 의해서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며 새로운 운동 기술을 습득하려는 영아의 의지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라고 주장합니다. 이러한 영아기 운동 기능의 발달에 대한 세 가지 관점을 알아보는 것을 통해 우리는 영아가 건강한 운동 기능을 발달시켜 나가기 위해서는 어느 한 측면만이 강조되어서는 안 되며 유전적인 성숙 및 환경과 경험, 그리고 영아의 능동적인 의지가 서로 상호작용하며 발달해나가야 할 것이라는 결론을 얻을 수 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