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고츠키는 아동을 바라볼 때 피아제와 마찬가지로 적극적으로 지식을 구하는 존재라고 보았습니다. 그러나 피아제는 아동의 인지 발달이 보편적인 단계를 거친다고 말한 반면에 비고츠키는 각 아동이 속한 환경에서 사회적이고 문화적인 맥락의 영향을 받아 아동의 사고와 행동의 발달이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진다고 보았습니다. 또한 비고츠키는 아동의 인지 발달에서 언어를 가장 중요한 정신적 도구로 여겼습니다. 즉, 아동의 사고를 질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도구를 언어로 보았으며 유아의 인지가 발달함에 있어서 혼잣말이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고 하였습니다.
비고츠키가 바라보는 발달과 놀이
비고츠키는 유아가 두 가지 커다란 맥락에서 발달을 이룬다고 보았습니다. 첫 번째는 유아의 신체구조 및 정신구조의 성숙과 같은 자연적인 발달입니다. 이러한 자연적인 발달 과정을 통해 유아는 기본적 정신기능을 습득하게 됩니다. 두 번째는 유아가 속해있는 환경에서 사회문화적인 활동에 참여함으로써 이루게 되는 사회문화적 발달입니다. 유아는 사회문화적 발달을 통해 고차원적 정신기능이 발달하게 됩니다. 또한 유아가 일생을 살아가면서 직면하게 되는 다양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기능인 고등 정신기능의 발달은 유아가 다른 사람들과 사회문화적인 상황에서 상호작용해보는 과정과 이러한 과정을 나중에 개인적으로 내면화하는 것을 통해 이루어지게 된다고 하였습니다. 다음으로 비고츠키가 바라보는 놀이에 대해 알아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비고츠키는 각 유아가 놀이를 하며 독립적으로 무언가를 발견해가고 습득해가는 것보다 놀이 상황에서 각 유아의 근접 발달영역에 맞춘 교사들의 개입과 또래 친구의 도움에 의해 이루어지는 도움을 통한 발견 학습을 더욱 중요하게 여겼습니다. 또한 비고츠키는 유아가 다양한 놀이에 참여함으로써 근접 발달영역을 창출해낼 뿐만 아니라 자기 조절 능력과 통제력이 길러진다고 보았습니다.
비고츠키의 사회적 구성주의 이론의 주요 개념
비고츠키의 사회적 구성주의 이론에는 4개의 주요 개념이 있는데 이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첫 번째는 근접 발달 지대입니다. 근접 발달 지대는 유아가 스스로의 힘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실제 발달 수준과 성인이나 능력 있는 또래 친구의 도움을 받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잠재적 발달 수준 사이의 거리를 말합니다. 또한 유아의 근접 발달 지대 안에 있는 행동과 기술은 한계나 형태가 정해져 있지 않고 끊임없이 변화해가는 역동적인 특성을 갖고 있습니다. 다시 말해 유아가 어떠한 문제를 해결함에 있어서 오늘은 성인이나 유능한 또래의 도움을 받았으나 내일은 스스로의 힘으로 해결할 수 있게 되는 것처럼 유아가 도움을 필요로 하는 수준은 유아가 발달해감에 따라 지속적으로 변화하게 된다는 것입니다. 비고츠키는 근접 발달영역 안에서 유아의 수준에 알맞은 과제를 제공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유아가 또래들과 공동으로 협력하여 과제를 해결해나가면서 결국 유아 자신의 능력으로 습득하는 것이 목표라고 하였습니다. 두 번째 주요 개념은 비계 설정입니다. 여기서 비계란 건축학에서 쓰이는 용어로써 건물을 지을 때 발판으로 사용하다가 건물이 다 지어지면 제거하는 것을 뜻합니다. 이러한 비계를 비고츠키는 사회적 구성주의 이론의 주요 개념으로 사용하였습니다. 사회적 구성주의 이론에서의 비계에 대해 보다 자세히 알아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유아가 하게 되는 사회적 상호작용 학습 안에서 성인이나 능력 있는 또래 친구와 같은 유능한 협력자가 문제나 과제에 대한 유아의 수행능력에 따라 도움의 정도를 조절해 가는 과정을 설명해주는 개념을 말합니다. 여기서 유아에게 도움을 주는 성인이나 유능한 또래는 유아가 새로운 문제나 과제에 직면했을 때는 많은 도움을 제공하고 점차 유아가 문제나 과제에 대해 많은 책임을 지게 하는 것을 통해 유아로 하여금 학습에 대한 책임감, 자율성, 독립성 등을 기를 수 있도록 합니다. 세 번째 주요 개념은 매개체입니다. 매개체는 유아가 숫자를 세거나 덧셈 뺄셈 등을 해야 할 때 손가락을 사용하는 것처럼 유아와 환경의 중간에서 특정한 행동을 촉진시켜 주는 무언가를 뜻합니다. 마지막으로 사회적 구성주의 이론의 네 번째 주요 개념은 내면화입니다. 어떠한 과제나 문제 해결에 있어서 유아에게 내면화가 됐다는 것은 다른 사람의 도움 없이 유아 스스로 해결할 수 있는 단계가 되었다는 것을 말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