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의 발달은 환경에 의한 학습이라고 주장하는 행동주의 이론과는 달리 사회학습 이론에서는 행동과 환경뿐만 아니라 아동의 인지 능력도 발달의 중요한 조건이라고 주장하였습니다. 또한 파블로프의 고전적 조건화와 스키너의 조작적 조건화를 통해서도 아동이 학습을 할 수 있으나, 보다 더 많은 학습을 할 수 있는 방법은 다른 사람의 행동을 관찰하는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여기서 다른 사람의 행동을 관찰함으로써 학습하는 방법을 대리적 조건 형성 또는 대리적 조건화라고 합니다. 대리적 조건화의 예시로는 어른을 만났을 때 예의 바르게 인사를 잘하는 언니를 옆에서 관찰한 동생이 똑같이 어른을 만나게 되는 상황에서 예의 바르게 인사를 드리게 되는 것을 들 수 있습니다.
반두라의 사회학습이론 중 학습의 기제
반두라의 사회학습이론에서 주장하는 학습의 기제에는 모델링과 강화가 있습니다. 모델링과 강화에 대해 보다 자세히 알아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모델링은 반두라가 제안한 가장 기본적인 학습의 기제로서 아동이 성장하며 사회화하기 위한 가장 중요한 학습의 기제라고 주장하였습니다. 아동은 관찰학습을 통하여 올바른 행동과 올바르지 못한 행동, 친사회적인 행동과 공격적이고 충동적인 행동, 바람직한 성 역할 등 사회 속에서 살아가기 위해 필요한 다양한 행동들을 학습하게 됩니다. 또한 아동들은 자신에게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인 부모를 가장 중요한 모델로 여기고 관찰함으로써 자신의 가치관과 행동들을 확립해가기 때문에 부모들은 아동에게 건강하고 바람직한 모델이 되어줄 수 있도록 끊임없이 노력해야 합니다. 다음으로 사회학습이론에서 주장하는 또 다른 학습의 기제인 강화는 대리 강화와 자기 강화로 나뉘는데 대리 강화는 사회학습 이론적 접근에서만 나타나는 개념입니다. 대리 강화에 대해 보다 자세히 설명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자신이 아닌 다른 사람이 어떠한 행동을 하고 강화를 받게 되는 과정을 곁에서 관찰함으로써, 대리적으로 강화를 받고 자신도 해당 행동을 하게 되는 것을 말합니다. 또한 자기 강화는 아동이 모델의 행동을 관찰하고 학습하는 과정에서 아동 스스로 생각하는 과정을 통해 판단하고 평가해서 자기의 행동을 통제하게 되는 강화를 말합니다.
관찰학습의 구성요소
반두라는 성공적인 모방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주의집중과정, 파지 과정, 운동 재생과정, 강화 및 동기화 과정의 4가지 구성요소가 필요하다고 보았습니다. 여기서 중요하게 생각해야 할 부분은 모든 관찰학습에서 주의집중과정, 파지 과정, 운동 재생과정, 강화 및 동기화 과정의 영향력이 동등하게 적용되지 않는다는 것이며, 각 관찰학습마다 보다 많은 영향력을 미치는 과정과 보다 적은 영향력을 미치는 과정이 있다는 것입니다.
관찰학습의 전형
반두라의 사회학습이론에는 5가지의 관찰학습 전형이 존재합니다. 5가지의 관찰학습 전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첫 번째 관찰학습 전형은 배합 의존 전형으로서 아동이 관찰하고 있는 모델의 행동을 그대로 따라 하고 보상을 받음으로써 학습이 이루어지는 것을 말합니다. 두 번째 관찰학습 전형은 동일시 전형으로 아동이 부모의 생활 속 일반적인 행동들을 동일시하는 것처럼 모델의 일상생활 속 일반적인 행동 및 가치관 등을 학습하게 되는 것을 뜻합니다. 세 번째로 무시행 학습 전형은 아동 자신이 직접 행동을 하고 보상을 받아보는 경험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자신이 곁에서 관찰하는 대상이 어떠한 행동을 하고 보상 및 강화를 받게 되는 모습을 관찰한 후, 대리적인 강화를 받고 학습이 이루어지는 것을 말합니다. 네 번째로 동시 학습전형은 아동에게 이미 학습되어 있던 부분이 사회적인 요인으로 인해 촉진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이전에 관찰학습을 통해 배웠던 어른께 예의 바르게 인사드리는 행동을 옆에 있는 친구가 수행했을 때 아동 자신도 덩달아 촉진되어 행동하게 되는 것을 말합니다. 마지막으로 다섯 번째 관찰학습의 전형은 고전적 대리 조건 형성 전형으로 다른 사람의 정서적인 경험을 아동이 곁에서 관찰하며 정서적인 반응을 학습하게 되는 것을 뜻합니다.
자기 효능감
자기 효능감은 자신이 어떠한 일을 잘 해낼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하는 개인적인 신념으로서 반두라의 사회학습이론에서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소입니다. 이러한 자기 효능감은 아동이 어떠한 행동을 관찰했을 때 모방을 할 것인지 하지 않을 것인지를 결정하는데 도움을 줍니다. 보다 자세히 설명해보면 아동 자신이 어떠한 행동을 관찰하게 됐을 때 자신의 능력 안에서 수행할 수 있을 것이라는 생각이 들면 모방을 시도할 것이고, 반대로 자신의 능력으로는 수행하거나 해결할 수 없다는 생각이 들면 모방하지 않고 회피하려 할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자기 효능감이 높은 아이일수록 모델의 다양한 행동들을 관찰했을 때 자신도 할 수 있을 것 같다는 결론을 내리게 되고 모방 행동을 많이 하게 됩니다.
댓글